160106_기자아카데미_3강_어떻게 취재하고 무엇을 쓸 것인가_안성모 기자

<3강>_어떻게 취재하고, 무엇을 쓸 것인가?_안성모 시사저널 사회팀장


<요약>




정보공개 세상:
보도 자료 기반 기사라도, 사실 확인이 필요하다. 

정보공개를 청구할 수 있는 사이트들이 있다. 문제는 아주 예민한 부분은 공개를 하지 않는다. 정보공개를 하긴하는데, 아주 방대한 자료를 줘서 사실관계를 확인하기 여럽게 하는 방법이 있다. 

어떤 아이템이 좋은가?
0. 새로워야 한다. 
0. 구체적이야 한다. 
  - 큰 논문, 담론 회피
0. 독자와 밀접해야 한다. 
0. 영향력이 있어야 한다. 

취재하기>
취재하기 전 사전 준비가 상당히 중요하다. 
왜 기사를 써야하는지 명확해야 한다. 
취재원과 취재처 리스트를 작성하고, 어떤 사람부터 어떻게 작성할 것인지 결정해둘 필요가 있다. 
가장 적은 시간에, 효율적인 기사를 써야 한다. 
관련 기사 및 자료 정리, 해당 전문가에 상의할 필요가 있다. 
현장 가서 취재진 동선만 따르지 말고, 항상 왜 그럴까 하는 의문을 가져야 한다. 사소한 것 하나도 놓쳐선 안된다. 취재원의 설명만 듣고 사실이다라고 판단하면 안된다. 

취재는 인터뷰가 중심이 된다. 사람을 만나서 한다. 


취재 시 유의할 사항>
0. 취재원(처)으로부터 사전 허가(허락)을 받아야 한다. 
0. 취재원(처)의 기본 정보는 미리 숙지해 둬야 한다. 더 좋은 취재를 위한 핵심 
0. 취재는 인터뷰가 98%다. 만날 사람의 시시콜콜한 정보까지 알고 가는 것이 중요하다. 
0. 거짓말을 하거나 신분을 위장해서는 안 된다. 
0. 일부러 의견 차이를 부추겨 취재를 억지로 하면 안된다.





기사의 종류>
0. 스트레이트 기사: 직접적인 정보 전달.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 육하원칙
0. 박스 기사: 추가 설명, 인터뷰, 흥밋거리
0. 스케치 기사: 현장 분위기 전달
0. 해설 분석 기사: 특정 사안에 대한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전문가 의견 등 통해 정리
0. 르포: 특정 사안에 대한 현장 취재 자체를 기사화하는 것
0. 칼럼: 기자 수업, 취재 일기 등, 위의 것들은 객관적이나. 칼럼은 기자의 주관적인 내용을 정리해서 싣는다. 
0. 인터뷰: 
0. 온라인 기사 매체로 다른 유형의 기사(소설, 희곡)도 생기지만, 기사의 본질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에 충실할 필요가 있다. 

기사 작성시 유의사항>
  1. 설득하려고 하지 말라. 
  • 독자를 이해시키는 것은 좋지만 내 의견 만이 옳다는 식으로 써서는 안된다. 
- 단순하게 주장하기 보다는 객관적인 사실만을 보여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2. 추측하게 하지 말라 
: 독자가 이건 왜 이렇게 되지? 라고 추측하게 하면 좋지 않다. 
-직설적으로 표현해야 한다. 
-의문형으로 기사를 마무리 짓는 것은 좋지 않다. 

3. 독자입장에서 써라
: 내가 쓴 글을 읽는 독자가 누구인지 알아야 한다. 가령, 40대 중반 남성이라면, 40대 중반 남성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과 관심있고 궁금해하는 내용으로 써야 한다. 
  • 기사를 읽는 독자가 누구인지 알아야 한다. 
  • 독자가 궁금해 하는 사안에 포커를 맞춰야 한다. 

4. 생동감과 긴장감을 살려라
: 기사의 앞부분(리더부분)을 잘 써야 한다. 흔히 소설로 쓰이는 기승전결로 쓰이면 잘 읽히지 않는다. 기사 앞부분에서 이 기사가 무슨 내용인지 알게 해야 한다.
- 같은 내용이라도 독자들이 기사를 계속 읽을 마음이 생기도록 구성을 해야 한다. 
  • 기사의 절반은 리더에 있는 만큰 리더를 잘 써야 한다. 
  • 취재한 모든 내용을 다 쓰고 싶다는 유혹을 넘어 버릴 것은 과감하게 버려야 한다. 꼭 필요한 내용만 추린다.
  • 대신 독자 입장에서 흥미로운 부분에 집중해야 한다. 
  • 기사 끝 부분에는 여운이 남도록 해야 한다 : 이 기사를 다 읽고 나서, 이 사안에 대해서 나는 어떻게 생각할지에 대한 여운이 남도록 해야 한다. 

5. 불필요한 단어와 문장은 생략하라
: 기자의 욕심 중 하나가 글솜씨를 뽐내려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기사의 가장 기본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가장 기본적인 것은 불필요한 단어 문장 생략이다. 
  • 기사는 독자가 가장 이해하기 쉽도록 써야 한다 : 너무 많은 수식어를 붙여서 이해도를 떨어지게 하면 안 된다. 
  • 쉬운 단어로 쓴다. 단어나 문장을 화려하게 쓰려하지 말고, 쉬운 단어와 문장을 사용하라 (예. 편평족이 맞는 표현이지만 기사에서는 평발이라고 쓴다, 보도자료가 어렵게 나오면 쉬운 말로 쓰라)
  • 가능한 능동태로 쓴다. : 가능한 수동태보다 능동태로 쓰는 것이 좋다. 가령, 시체가 안방에서 옮겨져 거실 마루에 놓였다가 아닌 경찰은 시체를 안방에서 거실 마루로 옮겼다로 바꾼다. 


평가>
기사가 나가기 전에는 여러 확인 작업을 거치지만, 기사가 나가지면 신경을 쓰지 않는 기자들이 많다. 그러나 앞으로는 그렇게 하면 안 된다. 
  • 기사에 대한 독자의 반응을 확인하라
  • 기사에 대한 독자나 취재원의 질문에 답변을 하라
  • 취재원과는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유대관계를 이어가라. : 이렇게 해야 더 좋은 아이템을 만들어 낼 수 있다. 


기타>
  • 취재원과 너무 밀접해 있으면 비판하기 어렵다. 너무 멀어도 안되고 가까워도 안된다. 
  • 기자라는 업계 자체가 폐쇄적이다. 서로 자리이동이 많다. 



초상권에 대한 내 질문에 대한 답>
축구대회에서 응원하는 것을 찍었는데, 항의가 된다. 판단이 헷갈린데, 특정 사람을 촬영하는데 그 사람의 허락을 받지 않는 경우는 문제가 된다. 
기사 문제 제기가 있으면 언론 중재위원회에서 제소가 되면 연락이 온다. 
같이 일종의 판결을 받결된다. 
중재 위원장은 현역 부장 판사다. 각자 입장을 말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공인에 대해서는 크게 문제 삼지 않는다. 
이때 어떤 사람을 공인으로 할 것인가가 해석의 여지가 있다. 
나도 작년 10월~12월 세 차례 중재위를 갔다. 
중재가 잘 되면 반론을 싣거나, 정정을 하게 된다. 언론사에서는 반론은 올려주나, 정정은 면밀하게 봐준다. 중재가 잘 되면, 좋으나 되지 않으면 소송까지 간다. 
인권이 중요하게 되니 갈수록 중요하게 되는 사안이다. 


<후기>

기자 삶의 속살을 느낄 수 있는 소중한 강의였다.
보통 강의 도입전에 레포형성이라든지 흥미유발을 하는데, 바로 도입으로 들어간 특이한 형식의 강의 였다.
기자 삶을 살면서 강의 역시 두괄식으로 형성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간단하지만 '어떻게 취재하고 무엇을 쓸 것인가'에 대한 감을 잡게 된 소중한 시간이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