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6. 25.
충남권 ICT연구회 외 워크숍에 참석한
선생님들 대상으로
VR활용교육을 강연할 기회가 있었다.
주로 SW교육에 대해 말씀드리고,
남은 30분에 걸쳐서 진행된 짧은 연수였지만
많은 생각을 준 소중한 시간이었다.
강의안은 bit.ly/sw160625 에 있다.
강의 영상은 포스팅 마지막에 있다.
강의초에 VR, AR이 담긴 영상까지
보여드리며
VR활용교육 강의를 신경썼지만
역시 짧은 시간과
나의 경험 부족은 개선점을 남겼다.
강의는 총 세단계로 진행됐다.
먼저,
먼저,
경험하기.
(해당 강의안이다)
유투브나 앱스토어에 있는 360 영상을
보시도록 했다.
(G축센서를 설명하며, 360도 영상을 위 아래로 보고 있다)
360캠코더로 유투브에 올린 영상 주소 bit.ly/gogo360 을 설명하며,
이후에 이야기 드릴 감정이입으로서 VR에 대한 사전 영상을 보여드린다.
(올해 무등산 일출 경험을 이야기 하고 있다)
그후
수업 장면을 찍은 bit.ly/360class 영상 중
한 영상을 보여드리며 이야기를 진행했다.
(영어 숫자 단어를 연습하며, 눈치게임을 하는 모습이다)
먼저 경험한 후,
그 경험의 의미를 설명드렸다.
개괄적인
360영상, VR, AR, MR, TR을 설명하고,
VR을 활용한 교육이
어떤 의미를 줄 수 있는가에 대해
'감정이입', '수업혁신' 측면에서 말씀드렸다.
(해당 강의안이다)
(360도 영상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VR을 교육활용에 활용할 수 있는 의미에 대해 개괄한 후,
VR을 활용해서 교육한 사례를 말씀드렸다.
(VR활용 교육 사례를 설명하고 있다)
(해당 강의안이다)
이런 다양한 사례는 현재(2016.6.27.) 24건을 작성했고,
계속 늘려갈 예정이다.
http://manchoikorea.blogspot.kr/search/label/VR
이번 강의는 VR활용 교육에 대한 두 번째 강의다.
첫번째 강의는 스마트교육학회 교수님, 교육자, 선생님을 대상으로 한 8분 정도 워크숍이었는데, 이번에는 33분간 짜임새있게 진행되었다.
다음에는 예시 영상과 영상 사이 이동을 줄이기 위해
링크식으로 더 짜임새 있게 강의를 구성해야 겠다.
또 아쉬운 점은 강의전 카드보드 체험을 꼭
하시길 권유드리지 못한 점이다.
처음 쉬는 시간을 통해
카드보드에 대한 체험을 하시도록 했으면 좋았으리라
VR에 대해 경험하면 경험할 수록
VR활용 교육에 대한 인싸이트가 더 많아지시기 때문이다.
왜냐면 선생님과 학생은 최고의 교육 컨탠츠이기 때문이다.
강연영상이다.
댓글
댓글 쓰기